Master's degree/금융보안

1. 금융 개요

맨사설 2025. 4. 20. 16:48
728x90

1. 금융(finance)이란?

금융(金融)이란, 돈을 융통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돈이 필요한 사람과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 사이에서 자금이 오가는 모든 활동

금융의 형태

  • 직접 금융
    : 자금 수요자(돈이 필요한 사람이나 기업)가 투자자에게 직접 돈을 조달하는 방식
    👉 예: 주식, 채권 발행
    🔺 원금 손실 위험 존재
  • 간접 금융
    :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을 매개로 자금 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
    👉 예: 예금, 대출
    ✅ 상대적으로 원금 보전 가능

 

2. 금융업권별 주요 업무

금융업은 크게 은행, 금융투자업, 보험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은행

  • 고유업무 :
    👉 수신업무(예금 등), 여신업무(대출 등)
  • 부수업무 :
    👉 지급보증, 어음 발행, 외환업무 등
  • 겸영업무 :
    👉 신용카드업무, 금융 상품 판매 등

2) 금융투자업

  • 투자매매업 :
    👉 금융회사가 자기 자금으로 투자
  • 투자중개업 :
    👉 고객 간 금융상품 매매 중개 및 수수료 수취
  • 집합투자업 :
    👉 펀드 운영 등
  • 신탁업 :
    👉 자산 신탁, 운용
  • 투자자문업 / 투자일임업 :
    👉 고객의 자산에 대한 투자 조언 또는 일임운용

3) 보험업

  • 고유업무 :
    👉 생명보험, 손해보험 상품 판매
  • 부수업무 :
    👉 보험 관련 서비스
  • 겸영업무 :
    👉 자산 운용을 통해 투자 수익 확보

 

3. 금융감독기구 및 역할

우리나라의 금융 시스템은 다양한 감독기관과 유관기관이 함께 유지·감독합니다.

주요 기관 역할 정리

  • 금융감독원 (금감원)
    : 은행, 증권, 보험, 신용관리 등의 감독기구가 통합되어 1999년 1월 2일 설립.
    👉 은행 > 보험 > 증권 순으로 규제가 많음
  •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 공무원 조직이며 금융 정책 수립 및 법 제정 관여
  • 예금보험공사
    : 금융회사가 파산할 경우, 예금자 보호를 위한 보장 (한국은 5천만 원 → 1억 원으로 상향 조정 예)
    👉 미국은 보장금액이 경제 규모에 따라 더 큼
  •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 부실채권 정리, 기업 구조조정 등 수행하는 준정부기관
  • 금융협회
    : 각 금융업권의 협회들이 자체적으로 회원사 감독을 수행

 

4. 금융 전산망 (지급결제시스템)

지급결제시스템은 경제활동에 따른 돈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주요 시스템

  • 한은 금융망 (BOK-Wire+)
    :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거액결제시스템
    👉 실시간 총액결제 방식 + 동시결제 방식 혼합
    👉 1994년부터 운영
  • 거액결제시스템
    : 금융기관 간 대규모 자금이체를 위한 시스템
    👉 금융회사 자기 계좌 간 또는 고객 대리 이체
  • 소액결제시스템
    : 개인/기업의 소액 거래를 처리, 차액결제방식을 이용
    👉 계좌이체, 카드, 수표, 지로 등👉 
  • 증권/대금 동시결제
    : 증권 실물과 대금이 동시에 오가는 결제 방식
    👉 결제 리스크 최소화

지급결제의 3단계

금융기관 간 자금 거래는 일반적으로 지급 → 청산 → 결제의 3단계를 거쳐 처리됩니다.

  • 지급 : 거래 당사자 간 자금 이체에 대한 약속이 발생하는 단계
  • 청산 : 거래 건별로 정산하지 않고, 하루 동안 발생한 거래를 총합산하여 정리하는 단계
  • 결제 : 실제로 자금이 계좌에서 빠져나가고, 상대방 계좌로 입금되는 최종 단계

💡 추가 팁

  • 서로 다른 금융기관 간 거래 시에는 3단계 모두 진행됩니다.
  • 반면, 같은 금융기관 내 고객 간 거래의 경우에는 청산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결제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이는 내부 시스템 내에서 바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금융결제원이란?

금융결제원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지급결제 전문기관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 자금결제 및 금융정보 유통을 원활히 수행
  • 금융기관 간 전산망 운영 및 연결
  • 금융소비자의 편의 증대건전한 금융거래 환경 조성
  • 전체 금융산업의 효율성과 신뢰성 제고에 기여

📌 쉽게 말해, 우리가 인터넷뱅킹, 자동이체, 공인인증서(사설인증서 포함)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의 핵심 중추 역할을 하는 곳이 바로 금융결제원입니다.

 

5. 금융회사 IT 시스템과 자금세탁 방지 체계

금융회사들이 운영하는 IT 시스템은 단순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넘어서, 고객 서비스부터 내부 경영, 대외 연계, 보안까지 폭넓은 영역을 아우릅니다. 이 시스템들은 24시간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문제가 생길 경우 엄격한 규제 기준이 적용됩니다.


✅ 금융회사 IT 시스템 구성

  1. 고객채널 시스템
    👉 인터넷뱅킹, 모바일앱, ATM, 텔레뱅킹 등 고객이 직접 접속하는 서비스 창구
  2. 계정계 시스템 (Core Banking)
    👉 수신, 여신, 고객 정보 등 은행의 핵심 업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 고객과 가장 밀접한 시스템이며, 시스템 장애 시 큰 피해 발생 가능
  3. 정보계 시스템
    👉 경영정보, 통계자료, 데이터 분석(DW/EDW) 등을 처리
    📌 계정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보고용 자료를 생성
  4. 경영지원 시스템
    👉 인사, 회계, 자산관리 등 내부 행정 업무 지원 시스템
  5. 외부채널 및 연계기관 시스템
    👉 신용평가사, 금융결제원, 카드사, VAN사 등과 실시간 데이터 연동
  6. 인프라
    👉 서버,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 IT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반 시설

⚠️ 시스템 운영 시 주의사항

  • 중대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3시간 내 복구하지 못하면 제재 대상
    👉 고객의 금융 거래 중단은 사회적 신뢰에 직결되기 때문에, 빠른 복구와 대응이 필수

💡 용어 설명

  • 코어뱅킹 (Core Banking)
    : 은행의 핵심업무(예금, 대출, 고객 관리 등)를 실시간 처리하는 중추 시스템
    👉 ‘계정계’ 또는 ‘기간계’라고도 불림
  • VAN 사업자 (Value Added Network)
    : 카드 결제 시, 가맹점과 카드사 사이에서 결제 정보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자
    👉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드 단말기로 결제 시 필수

 

6. 자금세탁 방지와 금융정보분석원(KoFIU)

🔍 금융정보분석원 (KoFIU)이란?

  • 설립 목적 :
    👉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세탁 및 외화 불법 유출 방지
  • 설립 연도 :
    👉 2001년, 관련 법률과 재정경제부 직제 개정에 따라 설립
  • 주요 역할 :
    👉 금융기관으로부터 의심 거래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수사기관과 공유

📋 자금세탁 방지 제도

  1. 고액현금거래 보고제도 (CTR, Currency Transaction Report)
    👉 하루에 1,000만 원 이상 현금을 동일 금융회사에서 인출 또는 입금할 경우 자동 보고 대상
  2. 자금세탁 의심거래 보고제도 (STR,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
    👉 거래 내용이 비정상적이거나 범죄 자금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 보고
  3. 고객확인의무 (CDD, Customer Due Diligence)
    👉 고객의 신원, 거래 목적, 자금 출처 등을 확인하고 이상 징후 시 주의를 기울이는 제도

🧾 금융회사의 보고 의무

금융회사는 내부 및 외부 보고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보고책임자는 의심스러운 거래 발생 시 이를 즉시 KoFIU에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이를 어길 경우, 금융회사는 과태료 또는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Master's degree > 금융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자금융거래법(2)  (0) 2025.04.20
2. 전자금융거래법(1)  (2)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