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s degree/블록체인

3. Bitcoin Protocol

맨사설 2025. 4. 4. 20:29
728x90

비트코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을 공부해야 합니다.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나 기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1) 달러 시스템의 운영 비용

▷ 연방준비제도 : 화폐의 발행과 통화 정책을 담당

조폐국 : 화폐 제작을 담당

재무부 : 재정을 관리하고 국채를 발행

입법부 : 화폐 시스템의 입법을 담당

시중은행 : 화폐 유동화와 지불 결제

국제은행 : 국가의 화폐 간의 청산을 담당

👉 연간 약 34조원의 운영 비용이 발생, 달러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힘 필요

(2) 달러와 비트코인

달러 연관 단어 : 연방준비제도, 헌법과 형법, 환전, 시중은행, 투자사, 카드사, 결제와 청산, 공권력, 사법부, 위조 방지

 비트코인 연관 단어 : 발행기관 없음, 법적 효력 없음, 실물 없음, 중계기관 없음, 운영기관 없음

(3) 분산 장부와 P2P 네트워크

  • 분산 저장
  • 분산 인증
  • 분산 컴퓨팅
  • 분산 합의

▶ 달러

  • 송금 : 500을 50,000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을 뚫어야 하고, 감시 당하지 않아야 하고, 수 백억원의 비용이 필요
  • 비용적 문제로 해킹 포기
  • 단일 장부
  • 데이터 전송 : Request/Response 방식
  • 네크워크 구조 : Client/Server
  • 서버 : 데이터 소유권, 데이터 기록 권한, 데이터 수정 및 삭제 권한
  • 은행이 데이터의 모든 권한을 가짐

▶ 비트코인

  • 송금 : 5을 50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000개의 노드에 접근해서 수정 필요, 한 대에 100만원 필요
  • 비용적 문제로 해킹 포기
  • 분산 장부 : 데이터의 투명성 보장
  • 데이터 전종 : Gossip(중개 전송) 방식
  • 네트워크 : Peer-to-peer
  • 데이터 소유권 : 없음
  • 데이터 기록 권한 : 누구나
  • 데이터 수정 및 삭제 권한 : 없음
  • 데이터의 권한이 분산됨

👉 데이터 저장 및 유지 :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유함

👉 데이터 검증 : 기록되는 데이터가 정확한지 검사함

👉 데이터 중계 : 데이터가 정확하다면 다른 노드에게 전파

👉 데이터 기록 : 필요에 따라 직접 데이터를 기록함

 

(3) 디지털 서명과 부인방지

공동 인증서

  • 로그인 대신 사용할 수 있다.
  • 별도의 저장장치가 필요
  • 분실 후 복원이 불가능하다.
  • 검증을 위해서는 별도의 SW가 필요
  • 불편하다.

디지털 서명의 이해

  -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대칭키는 보안상 위험)

  - 개인키와 공개키를 활용함

728x90

'Master's degree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Why Bitcoin?  (1) 2025.03.30
1.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  (0)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