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형 확률분포
◇ 베르누이 시행 : 실험의 결과의 범주가 2가지인 경우 (성공 / 실패)
◇ 이항분포 :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n번 시행했을 때 성공한 횟수의 분포
◇ 다항분포 : k개 범주의 다항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각 범주가 나타나는 획수의 분포
◇ 포아송분포 : 주어진 단위 구간 내에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의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동일 단위에서의 발생 횟수
◎ 연속형 확률분포
◇ 지수분포 : 평균 소요시간이 u인 사건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소요시간
◇ 정규분포
◎ 통계적 추론
◇ 점추정 (Point estimation) : 추정량을 통해 모수를 추정
◇ 구간 추정 (Point estimation) : 일정 신뢰수준 하에서 모수를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제시
◆ 대립가설 (H1) : 입증하여 주장하고자하는 가설
◆ 귀무가설 (H0) : 대립가설의 반대가설.
◆ 검정 통계량 : 이 값을 기준으로 귀무가설 기각여부를 결정
◆ 기각역 : 검정통계량이 취하는 구간 중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구간
◆ 단측검정 VS 양측검정
◆ 유의확률 (P-value) : 주어진 검정통계량값을 기준으로 해당 값보다 대립가설을 더 선호하는 검정통계량 값이 나올 확률, 유의확률 값이 유의수준보다 낮으면 귀무가설 기각
◎ 검정통계량과 관련된 분포
◇ Z 통계량
◇ t 분포
◇ 카이제곱 분포
◇ F 분포
◎ 미분 개념
- 미분값은 접선의 기울도함수를 통하여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값, 극소값을 구할 수 있다.
△ Likelihood function (가능도함수/우도함수)
▼ 확률분포함수 : 무수를 알 때, 확률변수의 실현값을 예측하고자 한다.
▼ 가능도함수 : 확률변수의 실현값을 알 때, 모수를 추정하고자 한다.
△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MLE) : Likelihood를 최대로 만드는 모수의 값
◎ 벡터, 행렬 연산 및 미분
▲ Matrix
▲ Vector : 행 또는 열의 수가 1인 경우, 전자는 row vector, 후자는 column vector
▲ Transpose and symmetric
▲ Identity matrix
▲ Diagonal matrix
▲ Trace
▲ 행렬식 (determinant) 구하기
○ Matrix 미분
'Data scientist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귀분석(2)_Code (0) | 2021.08.19 |
---|---|
회귀분석(1) (0) | 2021.08.19 |
수학적 개념 이해(1) (0) | 2021.08.19 |
Machine Learning_basic(2) (0) | 2021.08.18 |
Machine Learning_basic(1)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