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nabeeeeeee the best DataScientist
5. Enterprise Blockchain 본문
728x90
1. 분산장부(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의 개념
블록체인은 분산장부의 한 형태입니다. 하지만 두 개념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블록체인: 여러 트랜잭션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저장
- 분산장부: 각 트랜잭션을 개별적으로 검증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더 일반적인 개념
- IMF 보고서: 분산장부는 블록체인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분류
👉 대표 예: Corda (R3 컨소시엄) — 블록이 아닌 트랜잭션 단위로 검증
2. 기존 시스템과 블록체인의 비교
항목 | 전통 시스템 |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
관리 구조 | 중앙 집중(청산소) | 탈중앙화(P2P) |
보안성 | 해킹 위험 존재 | 변경 불가능, 추적 가능 |
비용 구조 | 중개 수수료 발생 | 수수료 거의 없음 |
투명성 | 제한적 | 완전한 기록 공유 |
3. 기업형 블록체인의 대표 주자: R3 CEV
- R3: CEO David Rutter + 공동 창업자 3인
- CEV: Crypto, Exchanges, Venture
- 목표: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목
- 성과:
- 글로벌 은행 및 기관 다수 참여 (Barclays, Citi, HSBC, NH농협 등)
- 2017년 시리즈 A 펀딩 $1억 달성
- Corda 플랫폼 발표 (2018)
4. 블록체인의 한계점
기업 환경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구조가 부적합한 경우도 많습니다.
- 프라이버시 부족: 모든 트랜잭션이 공개
- 확장성 한계: 초당 수천 건 이상 처리가 어려움
- 트랜잭션 확정 지연: 즉시성 요구에 부적합
- 참여자 실명 불가: 금융 거래에 필요한 신원 식별 어려움
- 기존 시스템과 통합 난이도: 레거시 시스템과 호환성 문제
5. 기업형 블록체인의 구조: Corda & Hyperledger Fabric
🔹 Corda의 아키텍처 특징
- 허가형 네트워크: 인증된 사용자만 참여
- P2P 구조: 거래 당사자끼리만 데이터 공유
- 법적 유효성 보장: 스마트 계약을 법적 문서로 간주 가능
- 금융 특화 설계: UTXO 기반, 확장성과 보안 강화
🔹 Hyperledger Fabric의 아키텍처
- IBM 주도로 개발된 모듈형 허가형 블록체인
- Execute > Order > Validate 아키텍처 채택
- 고성능 + 유연한 합의 메커니즘 + 범용 언어 지원
- 트랜잭션 별로 기밀성, 확정성, 확장성 향상
6. 합의 알고리즘: PBFT vs PoW
항목 | PBFT | PoW (비트코인 방식) |
합의 방식 | 다수결(2/3 이상) | 가장 긴 체인을 신뢰 |
장점 | 빠른 확정성, 에너지 효율 | 탈중앙성 확보 |
단점 | 확장성 낮음, 통신 부담 | 느림, 전력 낭비 |
용도 | 허가형 네트워크, 기업용 적합 | 공개형 네트워크 |
7. 실제 적용 사례
✅ Walmart
- 식품 유통 이력 추적: 사료 → 도축 → 운송 → 판매까지 모든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
- IBM 및 칭화대학교와 협력
✅ Maersk & IBM (TradeLens)
- 글로벌 물류 정보 추적 플랫폼
- 5억 건 이상의 물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 Airbus
- 항공기 부품 추적 시스템
- 폭발 사고 예방을 위한 부품 이력 관리에 블록체인 활용
✅ LVMH
- 명품의 진위 여부, 원자재 추적, 소유권 인증, 중고 거래 기록
✅ Everledger (보석 보험)
- 다이아몬드 120만 개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
- 연간 53조 원 규모의 보험 사기 방지
8. 기업형 블록체인, 왜 아직 대중화되지 않았을까?
한계 요인
- 기술 미성숙 및 표준 부족
- 비용 대비 효용의 불확실성
- 규제 및 법적 체계 미비
- 기업 간 협력의 어려움
향후 과제
- 규제기관과의 협업
- 기술 표준화 (Hyperledger, EEA 등)
- 신뢰 기반 생태계 조성
9. 기업형 블록체인 도입 시 고려사항
- 비즈니스 적합성: 거래, 신뢰, 소유권이 중요한 영역
- 거버넌스 설계: 권한 분배, 감사 시스템 구축
- 보안 및 확장성: 합의 방식, 암호화 기술, 데이터 처리
- 기존 시스템과 통합: ERP, CRM 등과의 연동 필수
- 기술 및 인재 확보: 유지보수와 확장성까지 고려
10. 기업형 블록체인의 미래
- 디지털 신원 관리, 디지털 자산, 스마트 계약 자동화 분야 중심으로 성장
- Web3 인프라로 확장되며, 공공·금융·유통·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예상
- 단기적으로는 닫힌 네트워크에서, 장기적으로는 하이브리드형 블록체인 형태로 진화할 전망
728x90
'Master's degree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Token Business (0) | 2025.06.23 |
---|---|
4. DID & DAO (4) | 2025.06.20 |
3. Bitcoin Protocol (0) | 2025.04.04 |
2. Why Bitcoin? (1) | 2025.03.30 |
1.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 (0) | 2025.03.30 |